교육부,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 3년간 600억 원 지원
2017. 03.15(수) 10:50
교육부는 지난 14일(화)에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 사업을 발표하며 정부세종청사 대강당(6동)에서 전국 직업계고 교원 400여명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4월 25일에 발표된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확대 계획’의 후속 방안으로서 양적 확대노력과 더불어 직업계고의 매력도를 높이는 질적 노력이 병행될 필요에 따라 추진됐다.

고졸 인재에 대한 인식개선 및 고졸취업문화 확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09년 이후 7년 연속 직업계고의 취업률 상승하고 있으나, 직업계고 간 양극화가 존재해 취업률 상승폭 둔화와 전체적인 직업계고의 발전과 성장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직업계고의 학생 중 상당수가 학업무관심, 학업중단․위기, 기초학력 부족 문제를 지니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열악한 직업계고 대상 학교 거버넌스 및 경영 전략, 교수-학습 방법, 교원 전문성 강화, 인프라 개선 등의 전반적인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매직 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매직) 사업을 통해 연간 200억원을 직업계고 100개교에 3년간 (’17년~’19년) 차등 지원(1~3억원) 할 계획이다.

1단계(’17년~’19년) 지원 후에는 100개교를 다시 선정해 3년간(’20년 ~ ’22년) 지원 할 예정이므로 총 6년간 200여교가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 사업의 지원 대상이 된다.

신청 학교는 주변여건과 학교특성 등을 고려 후 아래의 지원내용 등을 선택·조합해 자체계획을 수립(Bottom Up) 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 비전을 제시하는 학교
지역 사회와 연계한 학교 특성에 맞는 교육 모델개발 및 학교운영 시스템 개선 추진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꿈과 함께하는 직업계고 브랜드(미래 산업수요 전망을 고려한 발전 로드맵 제시 등) 구축 및 학교의 특성과 전통을 고려한 특색있는 학교발전을 유도할 예정이다.

△ 흥미롭게 경험하는 실전수업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생 참여 중심 프로젝트기반 수업 활성화 지원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초학력 제고를 위한 학습공간 마련과 교과 교실제 운영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머물고 싶은 행복공간
학교 이미지 개선을 위한 외벽미화와 구성원의 기분이 좋아지는 학생 생활·편의 시설 개선 등을 지원한다.

△ 이웃과 함께하는 학교
학교 공원조성 및 지역주민 대상 평생학습실(실습실 등) 형태의 교실 구축 및 학교의 정체성과 연계된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지역축제 및 자원봉사(PC 점검, 농기계 수리, 환경미화 등) 활동에 참여하도록 해 지역사회에 친화적인 학교 조성을 촉진할 계획이다.

△ 인성․기초학력 향상 지원
직업계고 학생의 학습 수준 및 학습부진 요인 진단을 통한 맞춤형 학습 클리닉 운영 및 학생의 수준과 역량을 고려한 학생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해 학생 참여 중심 교실수업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 성공적인 취업(사회진출) 지원
학생들의 취업 진로경로 개발 및 학생․학부모의 고졸 취업 인식 제고하기 위한 우수 취업처 발굴과 취업연계 활동 등을 지원하고, 전문 기술력 신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학생의 실무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실수업 개선 및 교원의 실기지도 역량함양도 지원한다.

매력적인 직업계교 육성 사업은 1단계 시도별 평가 대상 학교 수 배정과 2단계 시도별 자체평가 진행 후, 3단계 최종 평가를 통해 지원학교를 선정한다.

또한, 매직 사업에 선정된 학교를 대상으로 인력양성 유형설정, 교육과정(NCS), 교수-학습 방법 등 학교운영 전반에 대해 종합 컨설팅과 체계적 연수를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부 이준식 장관은 “매직 사업을 통해 직업계고의 위상을 높이고 우리 사회가 능력중심사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일선 학교와 시도 교육청과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하면서, 매직 사업의 성공적 진행과 함께 기 수행 중인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선진 직업교육 체계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사업계획서 접수(’17.4.11) 절차를 거쳐 4월말까지 선정 평가를 완료할 예정이다.
장준덕 hyun@schooli.kr
이 기사는 스쿨iTV 홈페이지(http://www.schoolitv.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hyun@schooli.kr